work/network 썸네일형 리스트형 TCP 체크섬 오프로드 출처 : http://myknowledge.kr/29 이번 글은 TCP 체크섬 오프로드 (TCP Checksum Offload)에 관한 글입니다. 네트워크 공부하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TCP에는 checksum을 계산하여 넣게 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checksum 계산은 OS의 socket 레벨에서 주로 수행하지만, 요세 나오는 Etherenet 카드의 경우에는 OS에서 안하고 Etherenet 카드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OS에서 해주어야 할 checksum을 Etherenet 카드에서 대신해 줌으로서 서버의 성능을 개선 시켜 줍니다. 일 반적인 패킷의 경우에는 알려져 있기로 5% 정도의 성능 향상이 있고, jumbo 패킷의 경우에는 15% 정도까지 성능 향상이 있다.. 더보기 IP 패킷의 헤더 구조 출처 : http://www.easytv.co.kr/119 TCP/IP의 계층 구조에 있어서 제2계층인 네트워크계층의 헤더 구조를 살펴본다. 네트워크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IP, ARP, ICMP등이 있으며 통신에서 addressing을 담당하고 있다. 데이터 단위는 패킷이라 하며 패킷의 앞부분에 32x6bit size의 헤더가 포함되어있다. - VERSION IPv4용 패킷인지 IPv6용 패킷인지 식별 - HEADER LENGTH IP OPTIONS가 필수항목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 header의 길이는 가변적이다. 그래서 header의 길이를 명시한다. - SERVICE TYPE 중요한 데이터인지, 우선적으로 보내야하는 데이터인지 명시 - TOTAL LENGTH header + data의 길이,.. 더보기 IP Fragmentation and Teardrop Attack 출처 : http://misman95.egloos.com/1848177 패킷 헤더 모든 IP패킷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IP 헤더를 가지고 있다. Version IHL(Internet Header Length) Type of Service Total Length Identification Flags Fragment Offset Time to Live Protocol Header Checksum Source Address Destination Address Options Padding 참조: RFC791 – Internet Protocol 다음 3가지는 패킷의 단편화에 관련된다. Identification Flags Fragment Offset Identification.. 더보기 IP (Internet Protocol)헤더의 구조 출처 : http://www.chonnom.com/bbs/board.php?bo_table=B16&wr_id=7 0 15 16 31 4bit version 4-bit header length 8-bit type of services (TOS) 16-bit total length (in bytes) 16-bit identification 3-bit flags 13-bit fragment offset 8-bit time to live (TTL) 8-bit protocol 16-bit header checksum 20 bytes 32-bit source IP address 32-bit destination IP address option (if any) data 4bit version: 버전을 나타냄. 현재는.. 더보기 이전 1 다음